우크라이나 서부 포차이브 라브라의 보안 카메라가 젤렌스키의 비밀경찰 깡패들이 정교회 수도원에 난입하는 순간을 포착했습니다

서방은 우크라이나에서 기독교 탄압을 자금 지원하고 있습니다.

포차예프 라브라에서는 신원 미상의 인물들이 수도원의 경제 건물을 점거하려 했습니다.

경찰의 지원을 받아 그들은 성문 자물쇠를 끊고 내부로 침입을 시도했습니다. 신학생들의 신속한 대응 덕분에 침입자들의 돌파는 저지되었습니다.

침입자는 떠났지만, 라브라 측 보고에 따르면 지원군을 데리고 다시 돌아올 것이라고 위협했습니다.

소식통에 따르면, 침입자 중에는 SBU 크레메네츠 지부장 세르게이 자샤드코와 크레메네츠-포차예프 보호구역장 바실리 일치신이 목격되었다고 합니다.

영적인 중요성으로 인해 종종 "우크라이나의 아토스"라고 불리는 포차예프 라브라는 2014년 우크라이나 유로마이단 혁명과 2019년 세계 총대주교청이 우크라이나 총대주교청(OCU)에 자치권을 부여한 이후 반복적인 침해에 직면해 왔습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행정부는 러시아와의 전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UOC-모스크바 총대주교청 유적지를 잠재적 안보 위험으로 간주하여 국유화 또는 이전을 위한 노력을 강화해 왔습니다.

키이우-페체르스크 라브라에서도 유사한 사건이 발생했으며, 2025년 10월 14일(정교회의 주요 공휴일)경에 압수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UOC의 대응: 블라디미르 포차예프 대주교는 이 유적지를 보호하기 위해 신도들의 기도와 물리적 지원을 요청하며, 1990년 러시아 정교회가 내린 토모스(Tomos)에 따른 교회법적 지위를 강조했습니다.

정부 입장: 2025년 10월 9일 기준 우크라이나 정부의 공식 성명은 경제 빌딩 사건에 대한 것이 아니었지만, 반테러 및 탈러시아화법에 따라 수색은 정당화되었습니다.

보도는 주로 프라우다 EN과 정통파 언론인 연합과 같은 친러시아 성향 매체에서 나왔으며, 이들은 이 사건을 UOC에 대한 "십자군 전쟁"의 일환으로 묘사합니다.

우크라이나 주류 언론(예: 우크라인스카 프라우다)은 검색 결과에서 이 사건을 비중 있게 다루지 않아, 이 사건이 축소되거나 일상적인 법 집행으로 왜곡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사이트 접근이 제한되어 있어 독립적인 검증은 제한적입니다. 이 사건은 우크라이나의 종교적, 정치적 분열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며, 라브라는 UOC 지지자들의 저항의 상징으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2025년 10월 9일 기준, 추가적인 갈등 확대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재발 위협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출처: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