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동(VND)은 관리형 변동환율제(managed float)로 운영되며, 베트남 중앙은행(SBV)이 미국 달러(USD) 대비 동 가치를 안정시키기 위해 개입합니다.
여기서 "변동환율제"는 환율 하락 압력이 완화되거나 실제로 강세를 보임으로써 동(VND)의 잠재적인 상승(즉, 달러당 동(VND) 감소)을 의미합니다.
2025년 9월 17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0.25% 금리 인하와 FTSE 러셀(FTSE Russell)의 베트남 주식 시장 신흥시장 지위 승격 등 최근 경제 상황을 고려할 때, 가까운 미래에 동(VND)의 변동환율이 다소 조정될 가능성은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가능성은 2025년 전반적인 환율 하락을 예측하는 전반적인 전망에 의해 다소 완화되고 있으며, 미국 정책 변화로 인한 위험이 상승 요인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부분을 단계별로 설명하겠습니다.
1. 연준의 금리 인하 배경과 베트남 동(VND)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 연준이 기준금리를 4.00~4.25%로 0.25%포인트 인하하기로 한 결정은 미국 고용 시장 지표 부진(예: 실업률 4.3%)과 완만한 경제 성장세를 고려할 때, 널리 예상되었던 "보험성 인하"였습니다. 이는 비둘기파적 기조로의 전환을 의미하며, 2025년 말까지 두 차례의 추가 인하가 예상됩니다.
- 역사적으로 연준의 금리 인하는 다른 통화와의 금리 차이를 줄이고 달러화 표시 투자의 매력을 떨어뜨려 미국 달러화 약세를 초래했습니다. 베트남의 경우, 이는 베트남 동(VND)에 대한 하락 압력을 완화합니다.
- 이는 미국 달러화와 베트남 동(VND) 금리 간의 수익률 차이를 줄입니다(이전 연준의 금리 인상 당시 확대되어 지난 12개월 동안 베트남 동(VND)이 약 7.4% 하락한 데 기여했습니다).
- 연준의 2024년 금리 인하 이후, 유사한 움직임이 외환 시장의 압박을 완화하고 베트남 외환보유고(현재 3개월치 수입 가능 범위에 미치지 못하지만, 시장 개입으로 인해 강화됨)를 지지함으로써 베트남 동(VND)을 포함한 아시아 통화의 안정에 기여했습니다.
- 즉각적인 시장 반응: 2025년 9월 26일 USD/VND 환율은 약 26,410으로 안정세를 유지했으며, VND는 전월 대비 0.11%만 약세로 마감했습니다. 이는 한국 원화(2024년 12.5% 하락)와 같은 다른 통화에 비해 상당히 완만한 수준입니다. 이는 금리 인하가 이미 VND에 어느 정도 지지력을 제공했음을 시사합니다.
2. 베트남 주식 시장 등급 상향 조정의 역할
- 베트남은 FTSE 러셀의 "프런티어" 등급에서 "세컨더리 이머징 마켓" 등급으로 재분류될 전망이며, 다음 검토는 2025년 9월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베트남 관계자들은 거래 플랫폼 개선 및 거래 실패 비용 절감 등 지속적인 개혁을 언급하며 등급 상향에 대해 "상당히 확신"하고 있습니다.
- 등급 상향 조정으로 글로벌 인덱스 펀드에서 50억~70억 달러의 수동적 자금이 유입되어 국내 자산에 대한 자금 조달을 위한 베트남 동(VND) 수요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본 유입은 2018년 인도네시아의 등급 상향 조정으로 루피아 가치가 약 5% 상승했던 것과 유사하게 베트남 동(VND)을 강세로 이끌 것입니다.
- 국내 펀더멘털 개선(예: 지역 경쟁국 대비 견조한 GDP 성장률, 2023-24년 5.8%의 경상수지 흑자, 인플레이션 완화)과 맞물려 베트남 동(VND)에 대한 상승 압력을 가하고 있습니다. 주식 시장의 호조세(4월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VN 지수는 연초 대비 30% 상승)는 투기적 자금 유입을 통해 이러한 추세를 더욱 강화할 수 있습니다.
3. VND 변동 가능성: 상승 시나리오
- 단기(2025년 4분기): 네, 일시적인 변동 가능성은 분명합니다. 연준의 완화 정책(시장은 12월까지 약 0.5%의 추가 인하를 예상하고 있음)으로 인해 2025년 상반기 USD 지수(DXY)가 하락할 수 있으며, VND는 현재 수준에서 1~2% 상승할 수 있습니다.
USD/VND 환율이 25,800~26,000으로 하락했습니다. 다음 달에 이러한 상향 조정이 확정된다면, 중앙은행(SBV)이 완화적인 개입으로 흡수할 수 있는 자금 유입을 유도하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입니다.
- 뒷받침하는 증거: 스탠다드차타드는 연준의 금리 인하 이후 "달러화 약세 편향" 속에서 2025년 2분기까지 USD/VND 환율이 25,450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베트남의 낮은 통화 가치 불균형과 안정적인 인플레이션 전망 또한 변동성 확대 없이 이러한 추세를 가능하게 합니다.
- 주식 시장의 모멘텀과 결합하면, 자금 유입이 VND 환율을 강화하고, 수입 비용을 줄이며, 소비를 지원하여 펀더멘털을 강화하는 선순환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4. 상반된 위험과 부정적인 전망
- 위의 내용에도 불구하고, 컨센서스 전망은 2025년 말까지 베트남 동(VND)이 3% 순 하락할 것으로 예상합니다(USD/VND 약 27,200~27,500).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 재정 부양책과 인플레이션이 다시 상승할 경우 연준의 통화 정책 중단 가능성으로 인한 달러 강세 (예: FOMC 위원 중 한 명이 금리 인하폭 확대에 찬성했지만, 2025년 말까지 금리가 3.5%~3.75%로 예상).
- 트럼프 대통령 집권 하의 미국 무역 정책에는 베트남 수출품에 대한 20% 관세(예상된 46% 관세 대신)가 포함되며, 이는 베트남의 무역 흑자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보복을 유발하고 외국인 직접 투자(FDI)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 국내 요인: 낮은 외환보유액은 중앙은행(SBV)의 방어력을 제한하고, 글로벌 보호무역주의로 인한 변동성으로 인해 USD/VND가 26,200을 상회할 수 있습니다.
결론
연준의 금리 인하와 개선된 시장 전망은 달러 약세와 자본 유입을 촉진하여 VND 변동폭을 확대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2025년 말까지 단기적으로 1~3%의 절상이 예상됩니다. 이는 주식 시장 모멘텀과 국내 개선에 대한 당신의 주장과 일맥상통하며, VN 지수를 더욱 상승시키고 보유액을 안정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추세는 보장되거나 지속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2025년의 전반적인 전망은 미국 중심의 리스크를 고려할 때 관리 가능한 수준의 가치 하락을 예상합니다. 과도한 변동성 없이 상승 잠재력을 실현하려면 중앙은행(SBV)의 적극적인 관리(예: 공개시장조작)가 필수적입니다. 투자자에게 이러한 시나리오는 단기적으로 VND 헤지 전략을 통해 베트남 주식에 투자하는 것을 유리하게 만듭니다.
출처:VIR